나는 일개 부린이.
내가 적는 글들이 틀릴 수 있다.
그럼에도 적는 이유는 그래야 부동산 사고력이 늘 것 같아서.
[단독] '평당 1000만원'…천장 뚫린 아파트 공사비에 비명
[단독] '평당 1000만원'…천장 뚫린 아파트 공사비에 비명, 강북도 3.3㎡당 900만원 훌쩍 전국 착공물량 1년새 28% 급감 민간 주도 주택공급 정책 차질
www.hankyung.com
오늘 본 기사는 한국경제의 하헌형 기자님의 "평당 1000만원...천장 뚫린 아파트 공사비에 비명"
요즘 원자재비가 많이 오르면서,
아파트 신축 비용도 많이 오르고 있다.
비용이 올라감과 동시에 분양가 상한제로 건설사들의 마진이 줄면서
재건축 수주에 몸을 사리고 있다.
가장 큰 문제인 원자재비 인상을 한번 보자.
원자재값 상승이 일시적인 걸까?
아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천연가스 공급 불안정화
중국의 제로코로나로 인한 봉쇄로 공장 생산력 저하, 자재 공급 부족 및 가격 인상
등의 사건이 연쇄적으로 벌어지면서 발생했기 때문에,
원자재값 상승은 단기적으로 해결되지 않을 문제라고 본다.
그래서 이렇게 공사비가 인상되면,
앞으로 한국 부동산 시장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
한번 상상의 나래를 펼쳐보겠다.
1. 신축이 희귀해서 아파트 값이 상승한다.
이유 - 신축 공급이 너무나 부족해서, 아파트 값이 올라갈 수 있다.
2. 비싼 돈주고 신축살 사람이 없어 아파트 값이 떨어진다.
이유 - 금리 인상이 계속 일어나는 상황에서 대출까지 받으면서 집을 사긴 힘들다.
집값이 오를 것 같아 보이지도 않은 데, 굳이 매수하지 않고, 전/월세로 산다.
3. 아파트 값이 보합한다.
이유 - 위의 논리들이 계속 부딪히면서 보합한다.
나는 2번일 것 같다.
매수자가 있어야 집값이 올라갈텐데
나라 상황이나, 가계 상황이 너무 안좋다.
기업들이 긴축하고 있는 걸 보면 매수 심리가 엄청 위축되서
매도하고 싶어도 안되는 상황이 올 것 같다.
'부동산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다반사] 인천 송도 집값 하락은 공급 과잉 때문? (0) | 2022.09.01 |
---|---|
[부동산다반사] 마곡 순식간에 4억 뚝? 진짜? (0) | 2022.08.27 |
[부동산다반사] 부동산 침체에도 꿋꿋한 강남 초고가 아파트들, 진짜? (0) | 2022.08.26 |
[부동산다반사] 왜 신축이 구축보다 많이 하락했을까? (0) | 2022.08.25 |